본문 바로가기
Gallery/꿈의 전시관

에어리스 압전 바퀴 설계 (Airless Piezoelectric Tire)

by GRAPHIC WIZARD 2022. 12. 25.

https://youtu.be/OvNjH1j7aOw

 

- 펑크가 나도 주행이 가능해야 하는 특수 차량에 설계하면 적합할 것 같다.

 

- 타이어가 눌릴 때 '에어리스 압전 타이어'에서도 효과적으로 공기가 빠지면서 눌려져야 하기 때문에, '에어리스 압전 타이어'의 접촉면(수평면)에 구멍을 설계해야 한다.

 

- 압전 소자에서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로 이동하는 부분에서, '에어리스 압전 타이어'의 단자 접촉면으로 하는 것 보다 '배선 설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휠과 '에어리스 압전 타이어' 공간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튜브'로 설계하는 것이 승차감, 전체적인 바퀴의 구성에서 더 좋을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타이어 교체 작업이 불편할 수 있다.

https://youtu.be/zLM-z-bcpB8

 

 

- 주행 중 타이어 내부는 높은 열이 발생하는데, 열전 소자와 압전소자를 통합하면 더 높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무선기기 가동 첫 성공 / YTN 사이언스 -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