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펑크가 나도 주행이 가능해야 하는 특수 차량에 설계하면 적합할 것 같다.
- 타이어가 눌릴 때 '에어리스 압전 타이어'에서도 효과적으로 공기가 빠지면서 눌려져야 하기 때문에, '에어리스 압전 타이어'의 접촉면(수평면)에 구멍을 설계해야 한다.
- 압전 소자에서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로 이동하는 부분에서, '에어리스 압전 타이어'의 단자 접촉면으로 하는 것 보다 '배선 설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휠과 '에어리스 압전 타이어' 공간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튜브'로 설계하는 것이 승차감, 전체적인 바퀴의 구성에서 더 좋을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타이어 교체 작업이 불편할 수 있다.
- 주행 중 타이어 내부는 높은 열이 발생하는데, 열전 소자와 압전소자를 통합하면 더 높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무선기기 가동 첫 성공 / YTN 사이언스 - YouTube
'Gallery > 꿈의 전시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블 플립 폰 (Pebble Flip Phone) (0) | 2024.10.20 |
---|---|
급발진 억제 페달 설계 (액셀, 브레이크) (0) | 2024.04.26 |
광학 100배 폴디드 줌 카메라 설계 (0) | 2021.09.07 |
동력 차단 브레이크 (전기차 급발진 방지 설계) (0) | 2021.02.06 |
전자 레일 방식의 전자식 핸들 설계 (R-EPS) (0) | 202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