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llery/꿈의 전시관

동력 차단 브레이크 (전기차 급발진 방지 설계)

GRAPHIC WIZARD 2021. 2. 6. 09:17

급발진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두 가지이다.


1. 차량의 전자 장비 오류 (ECU 결함, 접속 단자 결함)

2. 운전자의 실수


---------------------------------------------------------------------


1. 차량의 전자 장비 오류일 경우 대처 방법은,

차량의 동력을 차단하는 방법이 있다.

 

youtu.be/LzQAZi7P8v4

'동력 차단 브레이크'는 전자 브레이크이다.
0~30% 가량 밟을 때는 브레이크만 작동한다.
31%~100% 가량 밟을 때는 브레이크와 함께 기계식 설계로
배터리에서 인버터로 이어이지는 전력선을 차단하게 된다.
기계 설계이기 때문에 제동 시스템에서 신뢰도가 높다.

동력 차단을 액셀에 설계하지 않는 이유는
액셀에 설계할 경우 '회생 제동 에너지'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경사로 주행은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된다.

---------------------------------------------------------------------

2. 운전자의 실수일 경우 예방하는 방법이 있다.


'동력 차단 브레이크'는 30% 가량 밟을 때는 액셀과 비슷한 발감각을 준다.
31% 부터는 '동력 차단 장치'를 돌리기 때문에 액셀과 다른 발감각을 준다.
발의 감각으로 운전자에게 브레이크라는 것을 인식 시켜 주는 것이다.

또 한 가지 방법은 운전석의 앞 유리 쪽에 '브레이크 LED'를 설계하는 것이다.
브레이크 페달을 30%까지 밟을 때 '브레이크 LED' 한 개가 점등한다.
31%부터는 '브레이크 LED' 두 개가 점등한다. 동력 차단이 시작되는 시점이다.
95%부터는 '브레이크 LED' 세 개가 점등한다. 95%부터는 전력선이 완전히 차단된다.

 

급발진 상황은 위급한 상황이고,
운전자는 전방에 시선을 두며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실수로 액셀을 밟은 경우, '브레이크 LED'가 점등이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상황을 속히 파악하고 액셀에서 발을 뗄 수 있다.

 

- 자동차 설계에서 조향과 제동은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 같다.

"전기차 타는 분들 꼭 보세요" ...전기차 실제 실험 (급발진 (유사)사고 없기 바랍니다. 급발진 해도 사람은 살아야죠. 갑작스런 상황에 이것저것 생각 말고, 브레이크 꽉!!) (youtube.com)

 

 

- 브레이크는 유압호스로 기계적으로 작동한다. 유압은 네 바퀴와 연결되어 한쪽만 끊어져도 모든 바퀴의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다.

https://youtu.be/mGJ-Hds6-X4?si=LM0Yd0gSmIpiAzY2&t=276

 

 

- '주차 브레이크'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호스 파열시 '주차 브레이크'로 제동이 된다.

https://youtu.be/MV0rQGzLsOw?si=5h7UgdYr7-m_voHA&t=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