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llery/꿈의 전시관
전자 레일 방식의 전자식 핸들 설계 (R-EPS)
GRAPHIC WIZARD
2020. 12. 21. 04:41
랙(Rack)에 영구자석이 부착 되고 전자석으로 랙(Rack)를 움직이는 방식이다.
전자 레일 방식의 전자식 핸들은 자기 부상 열차의 구동 방식과 비슷하다.
랙(Rack)에 전자석을 설계하지 않고 영구자석을 설계하는 이유는
전자석은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랙(Rack) 내부의 윤활유를 연소 시키게 된다.
또 랙(Rack)에 영구 자석을 설계함으로써 랙(Rack), 피니언 기어를
하나의 밀폐된 공간으로 설계할 수 있고,
동력원인 전자석을 별도의 부품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분진, 침수, 진동으로부터 강한 내구성을 갖는다.
전자식 핸들은 오류로 인해 안전 모드 작동 시(전자식 핸들의 사용 중지),
모터와 기어로 설계된 경우 손의 힘만으로
핸들과 맞물린 모터를 함께 움직여야 한다.
때문에 핸들이 무거워진다.
전자 레일 방식은 맞물린 기어와 모터가 없기 때문에
안전 모드 작동 시에도 핸들이 비교적 가볍다.
또 모터와 기어 방식의 전자식 핸들은 기어 변형과 파손으로 인해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컬럼(Column), 피니언(Pinion)에 설계된 전자식 핸들은
피니언 기어에 많은 하중을 주어 부품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전자 레일 방식은 부품수가 적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경차에도 설계할 수 있다.
지하철 스크린 도어에 모터와 벨트가 설계되어 잔고장이 발생하는데,
전자 레일 방식으로 설계하면 반영구적으로 작동될 것이다.